아현 47

고통을 잊는 뇌, 기억하는 마음

고통스러운 기억을 잊는 뇌, 기억하는 사람인간이 충격적인 기억을 잊는 이유방어 기제로서의 기억 억제 (Repression)매우 고통스럽고 충격적인 기억은 무의식적으로 ‘억압’됨.자아(Ego)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의식에서 기억을 제거함.예: 학대, 전쟁, 사고 등의 기억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해마와 편도체의 기능 변화해마(hippocampus): 기억 저장 담당 → 스트레스에 의해 기능 저하편도체(amygdala): 감정 반응 담당 → 오히려 과도하게 활성화감정은 남지만 사건의 구체적 기억은 흐릿해짐해리 (Dissociation)현실에서 너무 큰 충격을 받을 경우, 기억과 감정이 분리됨.감정적 붕괴를 막기 위한 생존 전략.기억이 조각나거나, 없어진 것처럼 느껴짐.기억의 왜곡과 재구성인간의 기억은 고정된 ..

아현 2025.04.19

기술은 전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Technological Innovation

승리는 이미 전쟁 양상의 변화가 일어난 후 적응하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가 아니라..전쟁 양상의 변화를 미리 내다보는 사람들에게 미소 짓는다.” - 굴리오 두헤“준비하고 있으면서 준비하지 못한 적을 기다리는 자는 승리한다” - 손자병법 혁신과 전쟁, 그리고 미래 안보“기술은 전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기술혁신과 미래전쟁”이라는 주제로,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첨단·신흥기술이 현대와 미래 전쟁에 미치는 영향, 세계 각국의 군사혁신 논의와 시사점, 한국의 안보적 의미까지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정책연구 보고서입니다. 핵심 내용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정리합니다.1. 개요 및 목차 발행처: 국회미래연구원 (2024.12.9.)저자: 차정미(국제전략연구센터장)주요목차 1. 혁신과..

아현 2025.04.17

너 자신을 알라, 양심(良心)

트럼프 "우크라戰, 푸틴·바이든·젤렌스키 책임…곧 좋은 제안""자신보다 20배 큰 나라와 전쟁하며 미사일 달라한다"며 젤렌스키 비판 이란 핵문제 대응 옵션에 핵시설 타격 포함되냐는 질문에 "그렇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n.news.naver.com 트럼프, 中의 '美농산물 보복관세'에 "버텨라…농민 보호할 것""中, 보잉과의 큰 거래 어겼다"…中의 항공기 인수 거부 비판도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중국이 농산물 보복관세에 이어 상호관세에 맞대응하는 조치n.news.naver.com3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뉴진스 사건 및 사내 괴롭힘1. 사내 사이비 종교설로 인하여 회사 신뢰 저하 및 내부 논란 생성2. 예술인의 권리인 표절 및 모..

아현 2025.04.16

나의 트라우마가 후대에 전해지는 과정, 후성유전학(Epigenetics)

후성유전학(Epigenetics)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생명과학의 한 분야다. 즉, 유전자는 그대로인데 '켜짐/꺼짐'이 달라진다. DNA는 책의 내용, 후성유전학은 그 책을 어떻게 읽을지 결정하는 하이라이트나 포스트잇 같은 것. 주요 메커니즘 메커니즘 설명 DNA 메틸화 DNA의 특정 부위에 메틸기(-CH₃)가 붙어 유전자 발현을 억제 히스톤 변형 DNA를 감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에 화학적 변화가 생겨 유전자 접근성을 조절 비암호화 RNA 단백질로 번역되지 않는 RNA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 (ex. ..

아현 2025.04.15

왜 억만장자들은 지하벙커를 만드는 걸까, 트레이드 오프(trade-off)

일론 머스크의 엄마는 누구? - STAR세 아이를 눈부시게 키워낸 성공한 워킹맘, 기품 있는 시니어 모델, 유능한 영양학자... 아들만큼 대단한 메이 머스크의 이야기.www.elle.co.kr트레이드 오프(trade-off) 트레이드 오프(trade-off)는 한 가지 선택이나 목표를 취할 때 다른 선택이나 목표를 포기하거나 줄여야 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즉, 자원이나 시간, 노력 등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한쪽에 더 집중하면 다른 쪽에는 덜 투자하게 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다양한 측면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원의 한정성현대 경제학 및 경영학의 기본 전제 중 하나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 돈, 인력 등의 자원은 무한하지 않으므로 선택의 순간마다 다..

아현 2025.04.12

너가 싫은게 아니라 내가 소중해서, 인재건전성(人材健全性)

⛔️주의: 기업은 영리적 목적의 단체로서 자선단체가 아닙니다.조직의 목적 및 기능적 범위목적의 범위: 조직의 존재 이유와 목표. - 영리적 목적: 제품/서비스 판매로 수익 창출(예: IT 기업, 제조업체). - 비영리적 목적: 공익 실현, 사회적 가치 창출(예: 환경 단체, 자선단체). - 복합 목적: 영리와 비영리를 결합한 형태(사회적 기업).구성원의 범위: 조직에 속한 사람, 팀, 또는 이해관계자. - 직원(내부 구성원), 외부 계약자, 고객, 주주 등.구조적 범위: 조직의 내부 구조(부서 간 관계, 계층구조 등). - 예: 매트릭스 구조, 팀 중심 구조, 계층적 구조.p.s. 세상은 변화 앞에서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안일하게 생각하다가 당연하게 여기던 모든 것을 잃는 경험..

아현 2025.04.11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 간극, Reversal of Desire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 간극“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이유는 단순히 정보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심리적·정서적 저항 때문이다. 이것은 필 스터츠의 치료 철학에서도 매우 핵심적인 주제이기도 하다.1. 두려움과 불안 예: “이렇게 하면 나아질 걸 알아… 그런데 실패하면 어쩌지?”행동은 심리적 리스크를 수반하므로, 아는 것보다 훨씬 더 용기가 필요해요.특히 변화에는 늘 불확실성이 따르기 때문에, 뇌는 자동적으로 회피하려고 합니다.2. 완벽주의와 자기비판 “지금 하면 잘 못할 것 같아. 더 준비되고 나서 해야지.”완벽하지 않으면 시작도 안 하려는 마음은, 사실 자기 보호기제예요.필 스터츠는 이런 마음을 ‘내면의 검열관’ 혹은 ‘부정적 목소리’로 보고, 그걸 무력화하는 도구..

아현 2025.04.10

평균은 된다는 착각,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염전노예' 알려지자…美, 국내 최대 염전 소금 '수입 금지'미국이 우리나라 최대 염전 소금의 수입을 사실상 금지했습니다. 과거 여기서 벌어진 '염전 노예 사건' 때문인데, 외국 정부가 강제 노동을 이유로 한국산 제품의 수입을 금지한 건 처음입니다. n.news.naver.com 프랑스서 번지는 신천지…탈퇴 신도 "동물취급 받았다" | 연합뉴스(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프랑스 정부 산하 기관이 '문제적' 복음주의 교회들이 전역에서 확산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그 사례 중 하나로 ...www.yna.co.kr그의 우선순위가 돈이 아니라 청소가 더 높아보여 그럼 뚜까 맞겠지 뭐...풍선효과(Balloon Effect)는 어떤 문제를 한 부분에서 억제하거나 해결하려고 하면, 다른 부분에서 그 문제가 더 ..

아현 2025.04.08

지능과 생식 욕구, 가치 전수의 본능

"쌤, 대통령이 잘려요?" 학교서 탄핵심판 생중계··· 교사들 "필요하지만 고민 많아"4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전국 10개 시도교육청이 "현장 판단에 따라 학생들이 교실에서 TV 생중계로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각 학교에 요청했다. 민주주n.news.naver.com이거 이기면 애들한테 이렇게 행동하라고 가르치는 거야 알지? [주간 뉴스타파] 검찰이 압수한 ‘명태균 PC’, 뉴스타파가 확보해 공개내일(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옵니다. 온 국민이 두 눈으로 목격한, 대통령의 헌법 파괴 행위가 벌어지고 난 뒤, 넉 달 만입니다. 헌법재판소 선고를 하루 앞둔 n.news.naver.com♥ 지능과 자녀에 대한 욕구: 이상과 현실 사이..

아현 2025.04.03

나빠질 거라는 기대, 태스크 마스킹(Task Masking)

저를 왜 이렇게 잘 아시죠..? ⤵️ 4월 2일 – 14F 뉴스레터‘빨리빨리’의 민족, 하면 한국이죠. 그렇다면 음식 중에서 ‘빨리빨리’의 대명사는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패스트푸드가 아닐까 싶은데요. (그런지 사원 : 이름부터 ‘패스트’예요!) 밥 www.the14f.com 태스크 마스킹(Task Masking): 나빠질 거라는 기대 속, 조용한 저항 실질적인 업무를 하지 않으면서 겉으로는 바쁘게 보이려는 행위 유래: 미국 경제지 *포춘(Fortune)*에서 처음 제안한 개념 행동 예시: 격렬하게 타이핑하는 척 진지한 표정으로 모니터 응시 친구에게 전화하면서 회의하는 척 노트북을 들고 일부러 자리를 이동 윈도우 업데이트 화면 켜놓기 등 태스크 마스..

아현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