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극 속 왕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깨방정 숙종, 허세 숙종, 코믹 숙종.’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개그맨에게나 어울릴 법한 이런 별명이 조선왕조 19대 왕 숙종에게 붙여졌다.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동이> 속 숙종(사진)은 궁녀들
www.hani.co.kr
사극 속 조선 왕의 ‘진실 혹은 거짓’
1. 사극 속 왕의 변화
- 과거의 정통 사극은 왕의 통치와 정치적 업적에 초점을 맞췄지만, 2000년대 이후의 사극은 인간적이고, 신분이 낮은 사람들과도 쉽게 소통하는 ‘인간적인 왕’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아짐.
- 이는 왕의 행동 반경이 넓어지고, 말투나 태도도 평민과 유사하게 그려지는 현상으로 나타남.
2. 실제 왕의 모습과 비교
왕의 잠행(궁 밖 나들이)
- 조선시대 왕은 성리학 이념과 절차에 묶여 있었으며, 궁 밖 출입이 거의 불가능했음.
- 실제로 왕이 평민처럼 자유롭게 밖을 나가는 일은 드물었으나, 사료에 없는 일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음.
다정하고 인간적인 왕
- 왕은 궁궐 내에 ‘갇힌 존재’였기 때문에 신분이 낮은 이들과 어울릴 기회 자체가 적었음.
- 왕도 사람이기에 다정하고 감정적인 면이 있었을 순 있지만, 왕의 사적인 모습이나 인간적인 모습이 기록에 남은 경우는 매우 드묾.
왕의 사랑과 감정
- 신분 차이로 인해 연애와 사랑에도 제약이 있었지만, 사랑 자체는 시대와 신분을 초월한 보편적 감정. 인간적 감정 표현이 사극에서 드러나는 것이 오히려 사실적일 수 있음.
3. 사극의 상상력과 역사 왜곡 논란
- 사극에는 상상력이 가미된 허구적 설정이 많지만, 시청자들도 과장된 설정은 현실과 다름을 어느 정도 인식함.
- 역사학자는 이러한 사극을 비판만 할 것이 아니라, 실제 역사와 비교하고 해설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
- 역사적 사실 기반에 적절한 상상력이 더해진 사극은 오히려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역사 콘텐츠의 다양성을 키움.
사극 속 왕과 실제 조선 왕은 차이가 크지만, 상상력이 가미된 해석이 역사 인식의 폭을 넓혀줄 수 있음.
정통사극과 현대적 사극 모두가 공존하며 역사의 ‘총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해석과 접근이 긍정적임.
워런 버핏(Warren Buffett)
“좋은 기업을 적정가에 사 장기 보유”… 60년간 연평균 19.9% 수익[이준만의 세상을 바꾼 기업가
《세계의 투자자들에게 롤모델을 꼽으라면 상당수가 워런 버핏을 떠올릴 것이다. 많은 투자자들이 버핏이 세운 원칙을 기반으로 자신 또한 성공한 투자자가 되기를 꿈꾼다. 흔히 ‘오마하…
www.donga.com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투자자이자, 존경받는 경영자, 그리고 모범적인 기부자인 인물입니다. 그의 생애, 투자 철학, 경영 스타일, 그리고 사회적 영향까지 아래와 같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워런 에드워드 버핏(Warren Edward Buffett)
- 출생: 1930년 8월 30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 직업: 투자자, 사업가, 자선가
- 주요 직책: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 회장 겸 CEO
- 별명: 오마하의 현인(The Oracle of Omaha)
성장 배경과 어린 시절
- 아버지(하워드 버핏)는 증권 중개인이자 연방 하원의원
- 어린 시절부터 신문 배달/껌 판매 등 사업 감각을 익힘
- 11살 때 처음 주식(시티즈 서비스) 매수
- 숫자와 돈, 사업에 큰 흥미를 보여 수학, 경영 서적 탐독
학력 및 투자 인생의 출발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Warton School) 재학 → 자신과 맞지 않다고 판단, 네브래스카대학교로 전학
-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벤저민 그레이엄(가치투자 대가)에게 직접 배움
- 그레이엄의 가치투자법(저평가 기업 매수)의 신봉자로 알려짐
경력과 버크셔 해서웨이
- 1956년 '버핏 파트너십' 투자조합 설립
- 저평가(Under value) 기업을 매입하는 가치투자 실행
1962년 섬유회사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을 인수, 경영권 확보
→ 섬유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험·금융업 등 다양한 자회사 포트폴리오로 재구성
→ 버크셔 해서웨이: 세계 최대 투자 지주회사로 성장
연평균 수익률
- 1965~2024년, 약 19.9% 연평균 수익률
- 동기간 S&P500 약 10.4%의 두 배에 달함
투자 철학
워런 버핏의 투자법은 전 세계 투자자들의 교과서로 여겨집니다.
1. 가치투자(Value Investing)
- 기업의 내재 가치보다 주가가 낮다고 판단되면 매수
- 충분한 “안전마진”(margin of safety) 확보를 중시
2. 장기투자(Long-term Investment)
- 단기 시세차익보다 뛰어난 기업에 오래 투자해 복리 효과 극대화
- “주식 시장은 돈이 은근하게 부자에게로 이동하는 게임”이라고 함
3. 이해할 수 있는 사업만 투자
- “내가 이해하는 간단한 사업 분야,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 기업만 매수 (예: 코카콜라, 애플,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가이코, 시즈캔디 등)
4. 경영진의 정직성과 자질 중시
- 회사 경영진의 청렴/유능/trustworthy 여부 중요하게 평가 실제 투자 대상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5. 시장의 변덕을 이용하라
- “시장(Mr. Market)은 항상 비합리적. 공포일 때 사고, 탐욕일 때 판다.”
- 단기 가격 변동보다 실제 가치를 기준으로 판단
경영 스타일
- 자회사 경영에 간섭하지 않는 ‘방임 경영’ 원칙(기업가 정신 존중)
- 버크셔 해서웨이의 막대한 현금흐름 관리에 탁월
- 간결명료한 주주서한과 의사결정 방식에서 드러나는 ‘투명경영’
기부 및 사회공헌
- 2006년부터 재산의 99% 이상을 사회 환원 선언
-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 등과 ‘더 기빙 플레지(The Giving Pledge)’ 주도
- 직접 실천(2024년까지 약 580억 달러 기부)
- “부는 사회에서 얻은 것이니, 사회로 돌려주는 것이 당연”
- 매년 ‘버핏과의 점심’ 경매로 수익금 전액 기부
명언 및 영향
- “남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두려워할 때 탐욕스럽게 행동하라.”
- “평생 투자를 복리의 힘이 만든다.”
- 그의 투자 철학은 세계 모든 투자자, 경영자, 기부자들에게 강한 영향력을 줌
참고 에피소드
- 매우 검소한 생활: 오마하의 소박한 집에서 60년 넘게 거주, 직접 아침을 사 먹는 모습 화제
- 주식을 ‘좋은 기업의 일부를 사서, 내 소유로 오래 유지하는 것’으로 인식
- 돈 관리/성공/기부/자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관을 명확히 밝힘
버핏의 교훈
- 단순해 보여도 실행이 어려운 원칙(‘가치, 장기, 신뢰, 검소, 사회 환원’)을 평생 지킴 → 모두가 버핏처럼 바로 투자하지는 못해도, 그의 철학에서 ‘좋은 습관’을 배울 수 있음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투자자 중 한 명이며, ‘오마하의 현인’이라는 별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투자 성공만큼이나 그가 어떻게 일상을 보내는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아래는 여러 인터뷰, 기사, 다큐멘터리, 그의 자기 고백 등을 바탕으로 정리한 워런 버핏의 실제 일상 모습입니다. (2024년 기준, 버핏의 나이는 90대 초반입니다.)
워런 버핏의 실제 일상
1. 단순한 생활 습관
- 여전히 같은 집에서 삶: 1958년 오마하에 산 집(당시 3만 1,500달러)에 계속 거주. 수백억 달러의 부자임에도 호화저택이나 별장을 여러 채 소유하지 않음.
- 평범한 차: 고급 스포츠카 대신 주로 캐딜락 세단(중형차종)을 운전. 새 차로 자주 바꾸는 편이 아님.
2. 아침 루틴 & 식습관
- 간단한 아침: 대부분 맥도날드 햄버거나 소시지 맥머핀, 감자튀김 등 패스트푸드로 아침을 해결. 코카콜라를 매우 즐겨 마심. 하루 5캔가량 마시는 것으로 유명.
- 직접 운전: 대부분 가까운 맥도날드 드라이브스루를 직접 운전해 들르는 것으로 알려짐.
3. 업무 스타일
- 오전 9시쯤 사무실 출근: 버크셔 해서웨이 본사가 있는 오마하의 빌딩으로 출근.
- 작은 팀과 근무: 거대한 회사이지만 거의 25명 안팎의 소수 직원과 함께 일함. 이메일 대신 팩스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유명.
4. 독서와 공부
- 하루의 절반 이상을 독서그의 시간의 절반 이상은 신문, 재무제표, 사업보고서 등 다양한 책과 자료를 읽는 데 씀. 버핏은 “나는 하루의 80%를 책이나 신문을 읽는 데 쓴다”고 말한 바 있음.
- 연필과 종이: 분석이나 메모는 종이에 직접 손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5. 업무 방식
- 이사회, CEO와의 대화: 주요 계열사 경영진과 주기적으로 전화나 만남을 하고,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함.
- 장기 투자 중심: 거래를 자주 하지 않고, 한 번 투자한 기업의 경영진을 신뢰하고 장기간 보유함.
6. 휴식과 취미
- 브리지(카드게임) 즐김: 일주일에 3~4번, 때로는 8시간 넘게 온라인으로 브리지를 즐긴다고 함. 빌 게이츠와도 종종 온라인 브리지를 둠.
- TV 시청: 특별히 스포츠 중계나 뉴스 시청.
7. 인간관계와 성격
- 내성적이고 검소함: 필요 이상의 사교 모임이나 파티를 좋아하지 않음.
- 가족, 오랜 친구와의 의리: 평생을 함께 한 친구들과 가까이 지냄.
8. 건강 습관
- 운동을 많이 하진 않음: 직접 밝힌 바로는 “내가 건강할 수 있는 이유는 ‘6살 아이가 먹는 음식만 먹어서’”라고 농담할 정도로 규칙적인 운동이나 건강식을 하지 않는 편임.
- 그러나 건강 체크는 철저히 함: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꼼꼼히 받음.
워런 버핏의 삶은 겉보기에 매우 검소하고 단순합니다. 거대한 부와 명성을 가졌지만 평범한 일상과 습관을 유지하며, 아침 맥도날드, 코카콜라, 매일의 독서, 브리지, 가족 등 ‘좋아하는 것만 집중하며’ 살아가는 스타일입니다.
그는 현대인의 바쁜 모습과 달리, 오롯이 정보 탐구와 장기적인 인간관계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원칙(검소, 신중, 꾸준함)을 실천하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아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한 게 죄냐?”, 마음의 가난은 죄다 (15) | 2025.05.16 |
---|---|
고슴도치의 우아함, 뮈리엘 바르베리(Muriel Barbery) (2) | 2025.05.11 |
전쟁의 양상과 전략 혁신, 그리고 사회적 인식의 한계 (2) | 2025.05.03 |
고통을 감추는 방법, 인간실격(人間失格) (2) | 2025.05.01 |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K-최근접 이웃(K-NN Algorithm) (4)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