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믿을 곳이 없어 그렇지? 참 돈과 지위와 명예만 가지면 다들 변해 그렇지?
[트렌드모니터]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 "기부 단체"를 신뢰하지 못해서 - 매드타임스(MADTimes)
[ 매드타임스 채성숙 기자] 사회 공동체라는 전통적 가치관이 빠른 속도로 해체되고,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개인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음에도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위한 따뜻한
www.madtimes.org

Can I have the last dance, last dance with you
너와 마지막 춤을 출 수 있을까
君と最後のダンスを踊ってもいい?
能和你跳最后一支舞吗?
可以和你跳最後一支舞嗎?
I must be out of my mind / I must be out of my brain
정신이 나간 걸지도 몰라 / 미쳐버린 걸지도 몰라
気が狂ったのかも / 頭がおかしくなったのかも
我一定是疯了 / 我大概脑子坏了
我一定是瘋了 / 我可能腦袋壞了
Running out of time / This will work out fine
시간이 얼마 안 남았어 / 그래도 잘 될 거야
時間がもうない / でもきっとうまくいくよ
时间不多了 / 但一切都会好起来
時間不多了 / 但一切都會好起來
Been catching my eye / Need you by my side
계속 눈에 띄었어 / 네가 곁에 있어줬으면 해
ずっと気になってた / 君がそばにいてほしい
一直吸引着我 / 我需要你在我身边
一直吸引著我 / 我需要你在我身邊
I’ve been wanting you / All to myself
너를 원했어 / 온전히 내 곁에 두고 싶었어
君が欲しかった / 独り占めしたかったんだ
我一直想要你 / 只属于我一个人
我一直想要你 / 只屬於我一個人
I’ve been watching you / And nobody else
너만 바라봤어 / 다른 누구도 아니야
君しか見てなかった / 他の誰でもなく
我一直在看你 / 没有看别人
我一直在看你 / 沒有看別人
One last dance, yeah (ooh)
마지막 춤, 그래 (오우)
最後のダンスだよ(うん)
最后一支舞,是啊(喔)
最後一支舞,對啊(喔)
I can’t back out
이제 물러설 수 없어
もう引き返せない
我已经无法退缩
我已經無法退縮
But it’s not about us, this is not about us
하지만 이건 우리 얘기가 아니야
でもこれ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
但这不是关于我们的事
但這不是關於我們的事
I’ll hold you up
내가 널 지탱해줄게
君を支えてあげる
我会支撑你
我會撐著你
But it’s not about us, this is not about us
하지만 이건 우리 얘기가 아니야
でもこれ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
但这不是关于我们的事
但這不是關於我們的事
Because you got me where you want me
넌 날 네 뜻대로 움직이게 했어
君の思うままに私を操ってる
你把我掌握得死死的
你完全控制住我了
And you do it ’cause you know me well
그건 네가 날 너무 잘 알기 때문이지
私のことをよく知っているから、そうするんでしょ
因为你太了解我了
因為你太了解我了
And I don’t wanna be here waiting
여기서 기다리고 싶지 않아
ここで待ちたくなんかない
我不想在这里等
我不想在這裡等
’Cause that always seems to bring me down
기다리는 건 늘 날 무너지게 해
それはいつも私を落ち込ませる
因为那总让我心情低落
因為那總讓我心情低落
And it’s a shame ‘cause I want it but you say that it’s not about us
안타까워, 난 원하는데 넌 우리 얘기가 아니라고 하니까
私は望んでるのに、君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って言うから悲しい
我想要,可你却说这不是关于我们,让人难过
我想要,可你卻說這不是關於我們,讓人難過
Yeah, you had me when you did it and you do it to me so damn well
네가 그렇게 할 때 이미 난 네 거였어, 그리고 넌 그걸 너무 잘해
あの時君にやられて、今でも君は本当にうまい
你当时就抓住了我,现在你依然做得那么好
你當時就抓住了我,現在你依然做得那麼好
And now I’m all over you
이제 난 온통 너뿐이야
今はもう君に夢中だよ
我现在满脑子都是你
我現在滿腦子都是你
I don’t really wanna think about the rest of our lives, ooh
우리 미래 같은 건 생각하고 싶지 않아
これからの人生のことなんて考えたくない
我真的不想去想我们未来的日子
我真的不想去想我們未來的日子
And now I’m all over you
이제 난 온통 너뿐이야
今はもう君に夢中だよ
我现在满脑子都是你
我現在滿腦子都是你
I don’t really wanna think about the rest of our lives, ooh
우리 미래 같은 건 생각하고 싶지 않아
これからの人生のことなんて考えたくない
我真的不想去想我们未来的日子
我真的不想去想我們未來的日子
I know it’s cold
추운 건 알아
寒いのはわかってる
我知道天气很冷
我知道天氣很冷
But it’s not about us, this is not about us
그래도 이건 우리 얘기가 아니야
でもこれ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
但这不是关于我们的事
但這不是關於我們的事
It’s taking hold
점점 나를 휘감고 있어
どんどん支配されていく
它正在掌控我
它正在掌控我
But it’s not about us, this is not about us
하지만 이건 우리 얘기가 아니야
でもこれ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
但这不是关于我们的事
但這不是關於我們的事
Because you got me where you want me
넌 날 네 뜻대로 움직이게 했어
君の思うままに私を操ってる
你把我掌握得死死的
你完全控制住我了
And you do it ’cause you know me well
그건 네가 날 너무 잘 알기 때문이지
私のことをよく知っているから、そうするんでしょ
因为你太了解我了
因為你太了解我了
And I don’t wanna be here waiting
여기서 기다리고 싶지 않아
ここで待ちたくなんかない
我不想在这里等
我不想在這裡等
’Cause that always seems to bring me down
기다리는 건 늘 날 무너지게 해
それはいつも私を落ち込ませる
因为那总让我心情低落
因為那總讓我心情低落
And it’s a shame ‘cause I want it but you say that it’s not about us
안타까워, 난 원하는데 넌 우리 얘기가 아니라고 하니까
私は望んでるのに、君は「私たちのことじゃない」って言うから悲しい
我想要,可你却说这不是关于我们,让人难过
我想要,可你卻說這不是關於我們,讓人難過
Yeah, you had me when you did it and you do it to me so damn well
네가 그렇게 할 때 이미 난 네 거였어, 그리고 넌 그걸 너무 잘해
あの時君にやられて、今でも君は本当にうまい
你当时就抓住了我,现在你依然做得那么好
你當時就抓住了我,現在你依然做得那麼好
And now I’m all over you
이제 난 온통 너뿐이야
今はもう君に夢中だよ
我现在满脑子都是你
我現在滿腦子都是你
I don’t really wanna think about the rest of our lives, ooh
우리 미래 같은 건 생각하고 싶지 않아
これからの人生のことなんて考えたくない
我真的不想去想我们未来的日子
我真的不想去想我們未來的日子
And now I’m all over you
이제 난 온통 너뿐이야
今はもう君に夢中だよ
我现在满脑子都是你
我現在滿腦子都是你
I don’t really wanna think about the rest of our lives, ooh
우리 미래 같은 건 생각하고 싶지 않아
これからの人生のことなんて考えたくない
我真的不想去想我们未来的日子
我真的不想去想我們未來的日子
기술 발전, 문해력, 그리고 글로벌 언어 격차에 대한 고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정보 접근성이 높아지고, 인간의 생활 방식은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발전이 모두에게 평등한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해력의 저하, 그리고 기술 선진국 중심의 언어 구조가 결합되면서, 개인 간, 계층 간, 더 나아가 국가 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먼저, 기술 발전은 더 높은 수준의 문해력을 요구한다. 단순한 읽기·쓰기를 넘어서, 복잡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정보를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문해력이 필요해졌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술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속도를 개인의 문해력 향상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정보 소외층을 양산하게 되며, 특히 고령층이나 저소득층, 교육 소외 계층에서 그 문제가 두드러진다.
더 나아가, 기술 격차의 핵심은 언어에도 있다. 오늘날 글로벌 기술 플랫폼과 첨단 기술 문서는 대부분 영어, 또는 일부 기술 선진국의 언어(예: 일본어, 독일어, 중국어 등)를 기반으로 한다. AI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오픈소스 개발 문서 등은 거의 예외 없이 이러한 주요 언어로 제공되며, 이로 인해 비영어권 기술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은 기술 습득의 장벽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언어 장벽은 단순히 번역의 문제를 넘어선다. 기계 번역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기술 문서나 코드 관련 문맥은 정밀한 해석을 요구하기 때문에 여전히 원어 기반의 문해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최신 연구 결과나 오픈소스 도구, 글로벌 커뮤니티 기반 지원은 거의 영어로 이루어지므로, 영어 문해력이 낮은 개인이나 국가는 기술 흐름에 뒤처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파생된다.
- 국가 간 기술 격차 확대: 기술 선진국은 AI, 클라우드, 로봇 등 고도화된 분야에서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나, 언어·문해력 장벽을 가진 국가들은 기술 도입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다.
- 기술 종속 구조 고착화: 기술 후진국은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워지고, 선진국 기술 플랫폼에 의존하게 되며, 이는 데이터 주권이나 디지털 주체성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 글로벌 정보 편향: 주요 기술 언어의 문해력 부족은 세계 문제 해결을 위한 공정한 논의 참여 자체를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지식 생산과 의사결정이 특정 언어권에 집중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접근이 필요하다.
- 다국어 기반 기술 교육 강화: 비영어권 국가에서도 자국어로 된 양질의 기술 콘텐츠를 확대하고, 기술 번역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기초 및 디지털 문해력 교육 병행: 모든 국민이 기술 문해력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기초 문해력부터 디지털 환경에 맞춘 교육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 글로벌 기술 플랫폼의 다국어 지원 강화: AI 기술,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술 교육 콘텐츠가 다양한 언어를 포괄할 수 있도록 공공 및 민간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
결국 기술 발전의 진정한 의미는 모든 이에게 기회를 확장하는 것이다. 문해력과 언어 격차로 인해 기술에서 배제되는 이들이 없도록 하는 노력은 단지 사회적 책임을 넘어, 인류 전체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이다.
언어 능력 및 문해력 저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언어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사고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문해력(literacy)은 이러한 언어 능력이 읽기와 쓰기를 통해 구체화된 형태이며, 인간이 사회에 참여하고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핵심 역량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아래는 문해력의 사회적 영향과 중요성에 대한 내용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정리한 것입니다.
1. 문해력의 초기 개념과 개인적 영향
- 시기: 문자의 탄생 이후 ~ 근대 이전
- 특징: 제한된 계층(왕족, 성직자, 학자 등)만이 문해력을 갖춤.
- 영향
- 문해력은 권력과 연결되어 있었고, 대중은 주로 구어(口語)에 의존.
- 문해력이 없는 사람은 정보 접근이 어려웠고, 사회 내 의사결정에서 배제됨.
- 현대에도 문해력 부족은 개인의 자존감 저하, 사회적 고립, 학습 능력의 제한 등으로 나타남.
2. 산업화 시대 이후 문해력의 사회적 확산과 격차
- 시기: 18~20세기 산업혁명 이후
- 특징: 대중 교육의 보편화와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문해력 확산.
- 영향
- 문해력은 시민으로서의 권리 행사(정치 참여 등)와 직접적으로 연결됨.
- 여전히 저소득층, 농촌, 여성 등 특정 집단에서는 정보 격차가 존재.
- 현대에도 정책 문서·공공서비스 안내문 등의 이해 부족은 정치적 소외로 이어짐.
3.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문해력과 경제적 기능
- 시기: 20세기 중반 ~ 현재
- 특징: 지식 기반 사회로의 전환, 고용 시장의 변화
- 영향
- 문서 해석력, 업무 이해력 등 문해력은 생산성 및 고용 안정성과 직결됨.
- 문해력이 낮은 경우 취업 기회 축소, 업무 오류, 기업 손실 등의 경제적 문제 유발.
- 국가 전체의 노동력 활용과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침.
4. 디지털 시대의 문해력과 새로운 과제
- 시기: 21세기 디지털 전환 이후
- 특징: 정보 과잉, 멀티미디어 중심 환경
- 영향
- 단순한 문자 이해를 넘어서 정보의 맥락을 해석하는 디지털 문해력 필요.
- 문해력이 낮은 사람은 디지털 소외 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 큼.
- 사이버 보안 위협, 가짜뉴스 확산 등 정보 판단력 부족 문제가 발생.
5. 문화 보존과 언어 다양성 측면에서의 문해력
- 시기: 세계화 이후 ~ 현재
- 특징: 소수 언어의 소멸 위기, 세대 간 언어 단절
- 영향
- 문해력은 단순한 기능이 아닌, 문화·역사·정체성을 보존하는 수단.
- 지역어, 방언, 토착어 등 언어의 다양성이 위협받고 있음.
- 언어 능력 저하는 세대 간 문화 전승 단절, 공동체 정체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음.
6. 문해력에 대한 통계 및 국제적 시사점
- 대한민국 사례 (2021)
-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성인의 32%가 문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 국제 사례
- 세계은행은 문해력이 낮은 국가일수록 GDP 성장률과 노동시장 참여율이 저조하다고 분석.
7. 대응 방안과 미래적 과제
- 기초 문해력 강화
- 아동,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과 고령층 대상 맞춤형 교육 확대 필요.
- 디지털 문해력 교육 병행
- 정보 활용 능력을 기르는 융합형 교육 중요.
- 정책적 배려 확대
- 공공 서비스에서 쉬운 언어 사용, 시각 자료 제공 등 문해력 친화적 설계 필수.
문해력은 단순한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인간이 사회에 참여하고 존엄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입니다.
기술 발전과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문해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과 사회적 인식 변화가 시급히 요구됩니다. 문해력 증진은 곧 사회적 포용성과 지속 가능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투자입니다.
언어의 역사
언어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사고를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언어의 기원은 인간 진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언어의 형성과 발전 과정은 인류의 문화, 기술, 사회 구조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언어의 역사에 대한 주요 흐름을 시대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언어의 기원 (약 10만~5만 년 전)
- 음성 언어의 등장 가설
- 인간의 후두(목소리 상자) 구조 변화, 뇌의 발달로 인해 음성 언어 가능.
- 초기에는 감정 표현이나 위험 경고 등의 단순 신호체계로 시작.
- 단어의 출현과 문법의 형성
- 사물이나 행동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생기고, 이후 문법적인 구조가 발전.
2. 초기 언어의 분화 (약 1만~5천 년 전)
- 인구 이동과 지리적 고립
- 농경의 시작과 함께 정착 생활이 확산되면서 지역별 언어 분화.
- 어족(Language Family) 형성
-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아프로아시아어족 등 주요 어족이 형성됨.
3. 문자 언어의 등장 (기원전 3,000년경)
- 상형문자 및 표의문자
- 수메르의 쐐기문자, 이집트의 상형문자, 중국의 갑골문자 등.
- 문자의 사회적 영향
- 기록과 행정의 도구로서 사용되며 국가 형성과 문명 발전의 기반이 됨.
4. 고전 언어의 발전과 확산
- 산스크리트어,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등
- 종교, 문학, 철학, 과학 등의 매체로 활용되며 후대 언어에 큰 영향.
- 종교와 언어
- 히브리어(유대교), 아랍어(이슬람), 라틴어(기독교) 등 종교 중심 언어가 확산.
5. 근세 이후의 언어 변화 (15~19세기)
- 대항해 시대와 식민지 확산
- 유럽 언어(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의 세계적 확산.
- 언어의 표준화
- 사전, 문법서 출간으로 인해 국가 중심의 표준어 정착.
6. 현대 언어의 특징과 글로벌화 (20세기 이후)
- 국제 공용어의 등장
- 영어가 외교, 과학, 인터넷 등의 주요 분야에서 국제어로 자리잡음.
- 미디어와 통신 기술의 영향
- TV, 라디오, 인터넷 등으로 특정 언어의 영향력이 가속화.
- 언어 다양성의 위기
- 소수 언어, 방언, 토착어 등이 점점 사라지는 추세.
7. 디지털 시대의 언어 변화
- 자연어 처리와 인공지능의 발전
- 번역기, 음성 인식, 챗봇 등 기술 기반 언어 사용 확대.
- 언어의 단축과 혼성화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줄임말, 이모지, 외래어 혼용 증가.
- 언어 보존을 위한 기술 활용
- endangered languages에 대한 디지털 기록, 복원 프로젝트 증가.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이 아니라 인간의 정체성과 문화의 핵심입니다. 언어의 역사는 인간 사회의 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진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기술과 문화의 변화에 따라 계속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위의 영어 가사를 번역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간체), 대만어(번체) 이외에도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아랍어, 힌디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터키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필리핀어(타갈로그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체코어, 헝가리어, 핀란드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카자흐어, 우즈베크어, 몽골어, 네팔어, 벵골어,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펀자브어, 구자라트어, 마라티어, 신드어, 파슈토어, 쿠르드어, 소말리어, 스와힐리어, 줄루어, 아프리칸스어, 아이슬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조지아어, 아제르바이잔어, 타지크어, 키르기스어, 투르크멘어, 마케도니아어, 보스니아어, 슬로베니아어, 라오어, 캄보디아어(크메르어), 미얀마어(버마어), 싱할라어, 몰타어, 룩셈부르크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카탈루냐어, 하와이어, 사모아어, 통가어, 마오리어, 타히티어, 피지어, 파푸아뉴기니어(토크 피신), 하우사어, 이보어, 요루바어, 암하라어, 티그리냐어, 오로모어, 루안다어, 쇼나어, 세소토어, 츠와나어, 크리올어, 하이티 크레올어, 파피아멘토어, 에스페란토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부탄어(종카어), 나우루어, 팔라우어, 마셜어, 키리바시어, 투발루어, 미크로네시아어, 차모로어, 로타어, 야프어, 울리시어, 폰페이어, 코스라에어, 카로라이어, 토켈라우어, 니우에어, 쿡 제도 마오리어, 라파누이어 등의 언어가 존재한다.
현재 세계에는 약 7,139개의 언어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의 언어들은 실제로 존재하며, 다양한 지역과 문화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언어들은 현재 사용되지 않거나 사멸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언어들은 방언이나 변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언어의 정의와 분류는 학자나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어들은 실제로 존재하지만, 그 상태와 분류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p.s. 주요 기술 언어의 문해력 부족은 세계 문제 해결을 위한 공정한 논의 참여 자체를 어렵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지식 생산과 의사결정이 특정 언어권에 집중된다.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면 넓게는 국가적으로 좁게는 계층 간의 기술적, 언어적 지배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공부 좀 해)









































































































































































'아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과 생식 욕구, 가치 전수의 본능 (6) | 2025.04.03 |
---|---|
나빠질 거라는 기대, 태스크 마스킹(Task Masking) (0) | 2025.04.02 |
Thank you for being you , Happy Birthday (3) | 2025.03.30 |
Garbage In, Garbage Out, 종두득두(種豆得豆) (2) | 2025.03.27 |
그냥 곁에 있어주려고, NJZ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