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

인생이 망가지는 과정, 행복의 역치(閾値)

아횽 2025. 3. 23. 10:05



“흐물흐물하고 방시혁 닮아”…세상에서 제일 못생긴 물고기, 올해의 물고기 됐다

흐물흐물하고 방시혁 닮아세상에서 제일 못생긴 물고기, 올해의 물고기 됐다

www.chosun.com


육군, 시체 비닐백 12월에 3천개 더 구입..."극단 시나리오 암시"

"내란세력은 악을 몽상만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다. 꼼꼼하게 미리 준비했다. 시체 담아 운반하는 비닐백(영현백)을 24년 12월 3천 개나 더 비축했다. 그 전 4년 동안 영현백 비축물량은 천 단위에

www.ohmynews.com

여기 들어가면 될 것 같아 왜 합법이라며?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하이브, 장중 2%대 상승 전환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하이브, 장중 2%대 상승 전환, 법원 어도어 가처분 인용에 하이브 주가 반등

www.hankyung.com

하이브 박지원, 작년 연봉 23.3억원…방시혁 10억원 수령 - 아시아경제

박지원 전 하이브 대표가 지난해 보수총액으로 23억30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직전 연도인 2023년도(15억2000만원) 대비 53.3% 늘어난 액수다. 21일 하이브가 공...

www.asiae.co.kr


'우울증 갤러리'서 만난 10대들 성폭행…징역 10∼15년 구형

▲ 디시인사이드 우울증 갤러리 온라인 커뮤니티 '우울증 갤러리'에서 알게 된 10대 여학생들을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20대 남성 2명에게 검찰이 중형을 구형했습니다. 검찰은 13일 인천

n.news.naver.com

[사반 제보] "마약 탄 음료 먹여 전 여친 살해"…유가족 '눈물'

JTBC 〈사건반장〉은 지난 17일 20대 남성 A씨가 헤어진 전 여자친구에게 마약을 투약해 숨지게 한 혐의(상해치사)로 징역 9년을 선고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 1심 재판부는 A씨가 범행을 은폐하려

n.news.naver.com

하이브 박지원 대표, 정말 넥슨을 망치고 왔나 - 머니투데이

[게임인마켓]하이브 방시혁-민희진 갈등 과정서 박지원 대표의 넥슨 시절에 대한 비판 나와서든어택2, 듀랑고 등 실패한 신작 일부 있었지만 재무구조는 꾸준히 개선게임업계 DNA를 엔터업계 이

news.mt.co.kr


‘대치동 마약 음료수’ 주범, 대법서 징역 18년 확정 - 아시아경제

지난해 서울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이른바 ‘마약 음료수’를 제조하고 공급한 일당에게 중형이 확정됐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신숙희 대법관...

www.asiae.co.kr


행복의 역치(Threshold of Happiness)


행복의 역치란 개인이 일정 수준 이상의 삶의 조건을 갖추게 되면, 그 이후에는 추가적인 물질적 또는 외적 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된 이후에는 부나 사회적 지위가 증가하더라도 행복이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는다는 개념이다.

2. 주요 이론

2.1 이스터린의 역설(Easterlin Paradox)


1974년 리처드 이스터린(Richard Easterlin)이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적 성장과 국민의 평균 행복도가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핵심 내용

  • 소득이 낮은 단계에서는 경제적 성장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일정 수준의 소득이 충족된 이후에는 경제적 성장과 행복 간의 상관관계가 약해진다.
  • 상대적 비교가 행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2 적응 수준 이론(Adaptation Level Theory)


사람은 새로운 환경이나 성취에 적응하면서 점점 더 높은 기준을 요구하게 되며, 이에 따라 행복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는 이론이다.

핵심 내용

  • 소득 증가나 환경 개선은 처음에는 행복감을 증가시키지만,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기준에 적응하게 된다.
  • 지속적인 만족을 위해서는 외적 조건보다 내적 만족과 가치 추구가 중요하다.

3. 행복의 역치가 주는 시사점


1. 경제적 성장과 행복

  • 국가 차원에서 경제 발전이 중요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을 고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2. 개인의 삶의 방향성

  • 물질적 목표만을 추구하기보다 의미 있는 관계, 자아실현, 건강한 삶의 균형이 중요하다.


3. 행복의 지속 가능성

  • 행복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취에 의존하기보다 감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태도, 내적 성장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행복의 역치는 단순히 경제적 성장이나 외부 조건의 변화로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개인과 사회는 물질적 조건 외에도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행복을 증진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p.s. 최선을 다 했으면 미련은 없는 거야